2025년 4월, 내 동네 땅꺼짐 위험? 지도에서 확인하세요!
안녕하세요, 최근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 사고로 인해 많은 분들이 본인 거주지 주변의 땅꺼짐 위험에 대해 걱정하고 계실 겁니다. 이번 글에서는 내 주변 지역의 싱크홀(지반침하) 위험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와 지도 서비스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땅꺼짐(싱크홀)이란?
싱크홀은 지표면 아래의 지하수나 지하 공간이 비어 있는 상태에서 그 위의 지표면이 갑자기 무너져 내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도시에서는 주로 노후된 상하수도관 파손, 지하철 공사, 대규모 굴착 공사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2025년 3월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은 배달 라이더의 사망이라는 안타까운 사고로 이어져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이 사고 이후 서울시의 '지반침하 안전지도' 공개 여부를 둘러싸고 논란이 일어났습니다.
2. 공공기관의 땅꺼짐 정보 서비스
1) 지하안전정보시스템 (국토교통부)
이미지 출처: 나무위키
웹사이트 주소: https://www.jis.go.kr/mainForm.do
지하안전정보시스템
총 접속수 542,524건 사용자현황수 13,108건
www.jis.go.kr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지하안전정보시스템은 전국의 지반침하 현황 통계, 전문기관 현황, 지하안전평가 현황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세부적인 지역별 위험도 정보는 일반인에게 제한적으로 공개되고 있어 상세한 정보 확인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2) 공공데이터포털 - 전국지반침하정보표준데이터
웹사이트 주소: https://www.data.go.kr/data/15025448/standard.do
전국지반침하정보표준데이터
국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제11956호)』에 따라 개방하여 국민들이 보다 쉽고 용이하게 공유•활용할 수 있도록 공공데이터(Datase
www.data.go.kr
공공데이터포털에서는 "지하개발 사업 수행 시 지반침하 등의 지하 안전사고 사전 예방을 위하여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의해 수행되는 지하안전평가 등의 지하안전 관련 행정업무 및 지반침하사고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이 데이터는 개발자나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됩니다.
3) 서울시 지반침하 안전지도 (비공개)
이미지 출처: 대한경제
서울시는 2014년부터 지질, 지하 시설물, 싱크홀 이력 등을 토대로 땅 꺼짐 위험도를 5단계로 나눈 안전지도를 작성해왔습니다.
그러나 현재 이 지도는 "부동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과 "불필요한 오해와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는 이유로 공개되지 않고 있습니다.
3. 시민들이 직접 만든 싱크홀 지도
공공기관의 정보 공개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시민들이 직접 싱크홀 정보를 수집하고 지도로 제작하여 공유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1) 윤신영씨의 싱크홀 지도
이미지 출처: 중앙일보
과학 전문매체 기자 출신인 윤신영(46)씨는 국토안전관리원과 지하안전정보시스템에서 약 7년 동안 전국에서 발생한 싱크홀 1400여건의 자료를 수집하여 지도로 시각화했습니다. 이후 시민들이 거주지 근처 싱크홀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검색 기능도 추가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중앙일보
윤씨는 "집 근처에서도 지하철 공사가 계속돼 출퇴근할 때 불안에 떨었다"며 "어디서 왜 싱크홀이 발생했는지 한눈에 알아볼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제작 계기를 밝혔습니다.
https://sciencesay.shinyapps.io/sinkhole
https://sciencesay.shinyapps.io/sinkhole/
Sinkhole 어느 날, 땅이 꺼졌다 2025년 3월 24일 오후,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갑작스런 도로 땅꺼짐(싱크홀) 현상이 발생했다.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이 마치 장난감처럼 튕겼고, 라이더가 추락
sciencesay.shinyapps.io
2) 웹개발자 A씨의 싱크홀 위험지역 지도
웹페이지 개발자 A씨(34)도 2025년 4월부터 싱크홀 발생·위험 지역 좌표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작했습니다. 뉴스 기사를 검색해 최근 10년간 싱크홀이 발생한 지역을 좌표로 찍어 지도를 완성했으며, 이 지도는 입소문을 타 단기간에 1000여명이 접속했습니다.
A씨는 "시민들이 위험지역을 피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마음에 한 일"이라며 "지금도 매일 시간 날 때마다 싱크홀 사고가 새로 나진 않았는지 검색하며 업데이트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https://sinkhole-ebon.vercel.app
싱크홀 지도
싱크홀이 발생한 지역을 모아둔 지도입니다.
sinkhole-ebon.vercel.app
4. 최근 발견된 주요 위험지역
2025년 4월 현재, 보도된 바에 따르면 서울시에서 지반침하 우려가 큰 고위험 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광진구: 22곳 (가장 많음)
- 종로구: 9곳
- 금천구: 7곳
- 성동구와 구로구: 각 3곳
- 강남구, 노원구, 마포구: 각 2곳
이 자료는 국토교통부의 지반침하 특별점검 요청에 따라 각 자치구에서 노후 상하수관로 정보, 상습침수구역, 굴착공사 정보 등을 종합하여 자율적으로 선정한 지역을 취합한 것입니다.
5. 전문가들의 의견
전문가들은 싱크홀 정보의 공개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박창근 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 "싱크홀 공포가 일상화하며 시민들이 자신을 지키려는 마음으로 지도를 만드는 것이다. 지반침하 안전지도를 공개하는 등 열린 행정을 추구해야 불안감이 해소될 수 있다."
김선명 신한대 에너지공학과 전임교수: "시민들이 만드는 지도에는 한계가 있다. 불신이 이어지지 않도록 지자체에서 파악한 정보를 시민들에게 공개할 필요가 있다."
6. 땅꺼짐 위험에 대비하는 방법
- 지반침하 징후 파악하기: 도로나 건물 바닥의 갑작스러운 균열, 지반의 침하, 건물 기초의 이상 징후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하세요.
- 공사 현장 인근 주의: 대규모 지하 공사가 진행 중인 지역 주변에서는 특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 비 온 후 점검: 집중호우 후에는 지반침하 위험이 높아지므로 주변 환경을 자주 확인하세요.
- 위험 발견 시 신고: 지반침하 징후를 발견하면 즉시 지자체나 119에 신고하세요.
결 론
"내 동네 땅꺼짐 위험"에 대한 정보는 아직 공공기관에서 충분히 공개되지 않고 있지만,
시민들의 자발적인 노력으로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통로가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시민의 알 권리와 안전을 위해 공공기관의 정보 공개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내 주변 지역의 싱크홀 위험 여부가 걱정된다면, 앞서 소개한 공공 및 민간 웹사이트를 통해 정보를 확인하시고,
위험 징후 발견 시 즉시 관계 기관에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날의 있SU'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의 힘, 우리의 지구: 2025 지구의 날 (0) | 2025.04.22 |
---|---|
"연준의 신중한 금리 동결시사, 주식·환율 시장 영향과 앞으로의 전망" (0) | 2025.04.22 |
청년을 위한 정부 주택 정책, 내 집 마련의 꿈을 현실로! (0) | 2025.04.22 |
삼성의 20조 원 반도체 투자, 미래형 AI 반도체와 클린룸 공장 중심 전략 (0) | 2025.04.22 |
도시 라이프스타일의 새로운 중심, 스타필드 수원 (0) | 2025.04.15 |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과 한국의 관세 체계에 대한 종합 분석 (0) | 2025.04.03 |
싱크홀 발생 원인과 예방 기술 (0) | 2025.03.26 |
한국인들만 먹는 독특한 음식들 (0) | 2025.03.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