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싱가포르·두바이에서 배우는 스마트 도시와 녹색건축 성공 사례

bola-find 2025. 5. 16.

 

안녕하세요, 오늘은 세계적인 스마트 도시와 녹색건축의 대표 사례로 꼽히는

싱가포르와 두바이의 성공 전략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급격한 도시화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솔루션으로서

이 두 도시가 어떻게 혁신적인 접근법을 통해 미래 지향적 도시 환경을 구축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싱가포르: '정원 속의 도시'에서 '자연 속의 도시'로

1.1 녹색 도시 전략의 선두주자

싱가포르는 제한된 국토와 자원을 가진 도시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에서 가장 자연친화적인 도시 환경을 성공적으로 구현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정원 속의 도시(City in a Garden)'라는 비전으로 시작했으나, 최근에는 더 나아가 '자연 속의 도시'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싱가포르 가든스 바이 더 베이

출처: 마리나 베이 샌즈

 

싱가포르는 장기적인 비전 수립을 통해 도시 전체를 녹색 자원으로 연결하는 청사진을 마련했습니다. 고층 건물과 녹지가 공존하는 도시 계획을 통해 자연과 건축이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환경을 조성했습니다. 특히 건축물에 그린마크를 받은 재활용 자재를 적극 사용하고, 차양 모양의 디자인으로 햇빛을 차단하며, 냉각수를 이용한 공기 냉각 방식으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전략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1.2 가든스 바이 더 베이: 녹색건축의 상징

가든스 바이 더 베이는 싱가포르의 녹색 도시 전략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공간입니다. 인공 수퍼트리와 돔형 온실로 구성된 이 복합 공간은 도심 속 자연의 오아시스 역할을 합니다.

가든스 바이 더 베이 수퍼트리

출처: Agoda.com

 

수퍼트리는 단순한 조경 요소가 아닌 태양열 수집, 빗물 수확, 공기 정화 등 다양한 환경 기능을 수행하는 바이오미미크리(자연 모방) 설계의 대표적 사례입니다. 이 인공나무들은 실제 식물들이 자랄 수 있는 수직 정원 역할을 하면서도 발전된 기술을 통해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고 에너지 순환 시스템을 운영합니다.

1.3 주얼 창이 공항: 건축과 자연의 완벽한 융합

건축과 자연의 결합을 가장 잘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는 싱가포르 주얼 창이 공항(Jewel Changi Airport)입니다. 건축가 모쉐 샤프디가 설계한 이 공간은 세계 최대 실내 폭포와 거대한 실내 숲을 특징으로 합니다.

주얼 창이 공항 실내 폭포

출처: vmspace.com

 

40미터 높이의 '레인 보텍스'(Rain Vortex) 폭포를 중심으로 조성된 5층 규모의 숲은 단순한 공항을 넘어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공간으로 기능합니다. 또한 빗물을 수집하여 폭포를 작동시키고, 건물 냉각에 활용하는 등 지속가능한 물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1.4 순게이 카두트 친환경단지: 산업과 생태계의 공존

싱가포르는 순게이 카두트 친환경단지(Sungei Kadut Eco-District, SKED)를 통해 서로 다른 산업 간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동시에 자원 순환고리를 활용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 단지는 재활용 자재와 에너지 자원을 공유하여 폐기물을 최소화하고 지속가능한 산업 환경을 조성하는 모델을 제시합니다.


2. 두바이: 사막에서 피어난 스마트 미래도시

2.1 스마트 두바이 2021 전략

두바이는 석유에 의존하던 경제를 다변화하고 미래 지향적인 도시로 전환하기 위해 'Smart Dubai 2021 전략'을 추진해왔습니다. 이 전략은 도시를 '스마트 시티'로 성공적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출처: 비즈니스포스트

 

두바이는 'Paperless Strategy'를 통해 행정 업무의 디지털화를 실현했으며,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COVID-19 Dashboard, 식량 안보를 위한 DUBAI Food Security Dashboard, 부동산 등록을 위한 DUBAI Registers 등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2 마스다르 시티: 지속가능한 도시 생태계의 글로벌 모델

아랍에미리트의 아부다비에 위치한 마스다르 시티는 두바이의 스마트시티 전략과 연계된 지속가능한 도시 생태계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마스다르 시티는 태양광 및 신재생 에너지만을 사용하는 탄소중립 도시를 목표로 건설되었습니다.

마스다르 시티

출처: 중앙일보

 

마스다르 시티는 전통적인 아랍 건축 양식에서 영감을 받아 자연 냉각 효과를 최대화하는 설계를 적용했으며, 빗물 수집 및 재활용 시스템, 스마트 그리드 기반의 에너지 관리 등을 통해 자원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의 삼성물산이 이 도시의 에너지 인프라 구축에 참여하여 K-건설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기도 했습니다.

2.3 미래박물관(Museum of the Future): 혁신적 녹색건축의 상징

두바이의 미래박물관(Museum of the Future)은 혁신적인 설계와 지속가능한 건축의 대표적 사례입니다. 환상적인 타원형 디자인과 아라비아 서예를 외벽에 새긴 독특한 외관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두바이 미래박물관

출처: 헤이팝

 

이 건물은 오프사이트 태양광 농장과 녹색 지붕을 통해 태양열을 획득하고 열섬 효과를 줄이는 등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다양한 전략을 채택했습니다. 특히 건물의 독특한 구조는 단순한 미학적 가치를 넘어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기능적 디자인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4 녹색 고속도로 프로젝트: 친환경 교통 인프라

두바이는 최근 세계 최고의 녹색 고속도로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청정에너지 계획은 도시 교통 부문의 총 누적 탄소 발생을 줄이고 자동차 의존에서 보다 지속가능한 운송 수단으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 프로젝트는 교통 인프라에 태양광 패널과 친환경 재료를 활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고, 자전거와 전기차 등 친환경 이동수단을 위한 전용 도로를 제공하는 등 친환경적인 도시 이동성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3. 두 도시에서 배울 수 있는 성공 전략

3.1 장기적 비전과 일관된 정책 집행

싱가포르와 두바이의 공통점은 명확한 장기 비전을 세우고 일관된 정책을 집행해왔다는 점입니다. 싱가포르의 '정원 속의 도시'에서 '자연 속의 도시'로의 진화, 두바이의 'Smart Dubai 2021' 전략 등은 단기적 성과가 아닌 장기적인 미래 가치를 위한 투자였습니다.

3.2 첨단 기술과 전통적 지혜의 조화

두 도시는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면서도 각 지역의 기후와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전통적 지혜를 조화롭게 활용했습니다. 두바이의 마스다르 시티는 현대 기술과 전통적인 아랍 건축 방식을 결합해 사막 기후에서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였고, 싱가포르는 열대 기후에 적합한 녹색 벽면과 옥상 정원을 현대적 건축물에 접목시켰습니다.

3.3 공공-민간 파트너십 모델

두 도시 모두 스마트 시티와 녹색건축 프로젝트에서 공공과 민간의 협력 모델을 성공적으로 구현했습니다. 정부 주도의 명확한 비전과 규제 체계 안에서 민간 기업들의 혁신과 투자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지속가능한 발전 생태계를 조성했습니다.

3.4 데이터 기반 도시 관리 시스템

두 도시는 IoT 센서와 데이터 분석을 통해 도시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싱가포르의 전국적인 3D 가상현실 시스템, 두바이의 디지털 트윈 프로젝트 '원 휴먼 리얼리티(One Human Reality)'는 실시간 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한 도시 운영의 대표적 사례입니다.


4. 한국의 스마트시티와 녹색건축에 주는 시사점

4.1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솔루션

한국의 도시들도 각 지역의 기후, 지형,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스마트시티와 녹색건축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습니다. 획일적인 접근보다는 지역의 강점을 살린 차별화된 솔루션이 중요합니다.

4.2 기존 인프라의 스마트한 업그레이드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는 것보다 기존 도시 인프라에 스마트 기술을 접목하는 방식으로 효율적인 전환이 필요합니다. 싱가포르가 기존 건물에 녹색 인증 시스템을 도입하고 단계적으로 업그레이드한 방식을 참고할 만합니다.

4.3 생태계적 접근과 자원 순환 시스템

단일 건축물이 아닌 도시 전체를 하나의 생태계로 보는 통합적 관점이 필요합니다. 에너지, 물, 폐기물 등의 자원 순환 시스템을 구축하여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마치며

싱가포르와 두바이의 사례는 자원과 공간의 제약을 혁신적인 솔루션으로 극복하고

미래지향적 도시 환경을 구축한 성공 모델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기술의 발전만을 좇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도시들도 이러한 글로벌 성공 사례에서 영감을 얻고,

우리 실정에 맞는 스마트하고 친환경적인 도시 발전 모델을 발전시켜 나간다면

더욱 살기 좋은 도시 환경을 만들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